고교학점제의 필수 이수 학점과 졸업 요건
고교학점제는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며,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기존의 "3년 과정 이수" 기준이 아니라 **"학점 기준 충족"**이 졸업 요건이 된다. 그렇다면 졸업을 위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학점과 요건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1. 고교학점제의 기본 개념과 학점 운영 방식
기존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3년을 다니면 졸업이 가능했지만,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이 정해진 학점을 충족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즉, 단순히 시간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학점을 이수하고, 성취 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 졸업 필수 학점: 총 192학점 이상
- 학점 이수 방식: 1시간 수업(50분) = 1학점
- 수업 구성: 공통과목 + 선택과목
학점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졸업할 수 없으며, 부족한 학점이 있을 경우 추가로 수업을 이수하거나 재이수해야 한다.
2. 졸업을 위한 필수 이수 학점 구성
고교학점제에서는 크게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나뉘며,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학점 기준이 있다.
(1) 공통과목 (필수 이수 과목) – 최소 84학점 이상
공통과목은 모든 학생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기본 교과목으로, 주로 1학년 때 배우는 과목이다.
교과 영역 필수 과목
국어 | 국어 |
수학 | 수학 |
영어 | 영어 |
한국사 | 한국사 |
통합 사회 | 사회·역사·도덕 기초 |
통합 과학 |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기초 |
체육·예술 | 체육, 음악, 미술 등 |
모든 학생은 공통과목에서 최소 84학점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2) 선택과목 – 최소 108학점 이상 이수
선택과목은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게 선택하는 과목으로, 일반 선택 과목과 진로 선택 과목으로 구분된다.
- 일반 선택 과목
- 공통과목을 기반으로 한 심화 과정
- 예: 문학, 수학Ⅱ, 영어 독해와 작문, 물리학Ⅰ, 화학Ⅰ
- 진로 선택 과목
- 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특화된 과목
- 예: 경제 수학, 심화 화학, 프로그래밍, 기초 회계
- 전문 교과 (특정 진로 맞춤 과목)
- 예술·체육, 직업계열 학생을 위한 과목
- 예: 음악 이론, 체육 경기 분석, 전자기기 제작
학생은 이 중에서 최소 108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개인의 진로에 맞춰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3. 학점 이수 기준과 성취 평가 적용
고교학점제에서는 단순히 과목을 듣는 것만으로 학점을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 이상의 성취도를 달성해야 학점이 인정된다.
(1) 성취평가제 도입 (절대평가 방식)
- 기존의 상대평가(등급제)에서 절대평가(성취평가제)로 변경
- A, B, C 수준 이상이면 학점 인정, D 이하이면 재이수 필요
성취 수준 평가 결과 학점 인정 여부
A | 매우 우수 | 인정 |
B | 우수 | 인정 |
C | 보통 | 인정 |
D | 미흡 | 재이수 필요 |
E | 매우 미흡 | 재이수 필요 |
즉, D 또는 E 등급을 받으면 해당 과목을 다시 이수해야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다.
4. 학점 부족 시 해결 방법 (재이수, 추가 이수 등)
학생이 3년 내에 192학점을 이수하지 못하면 졸업이 불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학점을 보충해야 한다.
- 재이수 제도 활용
- 성취도가 낮은 과목을 다시 듣고 성적을 개선
- 기존과 달리, 재이수 과목은 성취평가제 적용으로 부담이 적다
- 추가 과목 이수
- 학기 중 또는 방학 중 온라인 강의, 지역 연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추가 학점 이수 가능
- 조기 졸업 및 학점 선이수 제도
- 3년 내 192학점을 초과 이수하면 조기 졸업 가능
- 일부 학생은 대학 과목을 미리 이수하여 학점 취득 가능
5. 고교학점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자신의 진로와 연계하여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과 같은 전략을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 진로에 맞춘 과목 선택
- 희망하는 대학 학과에서 요구하는 과목을 미리 선택하여 대비
- 예: 공대 진학 → 수학Ⅱ, 물리학Ⅰ, 프로그래밍 등 선택
- 내신과 대입을 고려한 전략적 학습
- 성취평가제가 적용되므로, A·B 수준을 유지하며 학점 관리
- 상대평가가 적용되는 일부 과목(수능 연계 과목)은 별도 관리 필요
- 학습 플랜을 세우고, 부족한 학점 미리 보충
- 1~2학년 때 필수 과목과 기초 과목을 확실히 이수
- 3학년 때 심화 과목과 진로 맞춤 과목을 중심으로 학점 관리
6. 마무리
고교학점제는 단순히 고등학교를 3년 다니는 것이 아니라, 192학점 이상을 충족해야 졸업할 수 있는 제도다.
학생들은 필수 과목(공통 과목 84학점)과 선택 과목(108학점 이상)을 전략적으로 이수해야 하며, 성취평가제 적용으로 학습 성취도가 낮으면 재이수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리 학습 계획을 세우고, 자신이 원하는 진로와 연계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글에서는 고교학점제에서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 종류와 구성 방식에 대해 보다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